교통비를 전액 받는 것은 당연한 것인가?
"아르바이트의 교통비는 모두 받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으신가요? 구인에 "交通費支給(교통비 지급)"이라고 적혀있다고 해서, 교통비를 전부 다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교통비의 지급은 주로 이하의 3가지가 있습니다.
■전액지급
출퇴근에 필요한 교통비를 전부 받을 수 있습니다.
■일률지급
출퇴근에 얼마가 들었는지 상관없이 일정한 금액을 일률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하루에 몇엔, 매달 몇 엔처럼 금액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규정 내 지급
회사 또는 점포에서 정한 규칙 내에서 교통비를 받을 수 있습니다.

교통비 규정 내 지급의 예
교통비 규정 내 지급의 "규정"은 회사나 점포에 따라 다양합니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면접 때 반드시 확인하는것이 좋습니다.
■ 규정의 예
· 통근 거리가 2킬로미터 이상일 때부터 지급
· 1일 상한이 ○엔, 1개월의 상한이 ○엔
· 월 ○일 이상 근무할 경우, 정기권 요금을 지급
· 2킬로미터 이내의 버스 요금은 제외등
통학정기권을 가지고 있을 때도 교통비를 받을 수 있나요?
그 회사나 점포에서 근무를 하지 않아도 어차피 사용되는 교통비라는 점에서, 현실적으로는 통학정기권내에 근무처가 있으면 교통비가 지급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본래, 통학 정기는 통학을 위해 발급되는 것이며, 철도회사에서도 통학을 위한 것이라 규정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통비가 지급되는 아르바이트라면, 통학정기권을 가지고 있어도 교통비가 지급되어야만 합니다.
그러나, 회사나 점포에서는 이러한 사정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적어서 교통비를 지급하지 않는 회사나 점포가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교통비지급의 여부, 지급 조건에 대해서는 반드시 면접 시에 확인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간단정리
교통비가 지급되는가, 얼마를 받을 수 있는가는 회사나 점포에 따라 각양각색이므로 반드시 면접시에 확인하는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